프론트엔드/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Ryuzy 2025. 4. 8. 20:13
728x90
반응형

1. 자바스크립트

자바스크립트(JavaScript)는 웹 페이지를 동적으로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HTML과 CSS가 각각 웹 페이지의 구조와 스타일을 담당한다면, 자바스크립트는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처리하고 웹 페이지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버튼 클릭, 폼 입력, 애니메이션 효과 등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Node.js와 같은 환경을 통해 서버 개발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는 대부분의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며, 현대 웹 개발에 필수적인 핵심 기술 중 하나입니다.

 

node.js

Node.js는 자바스크립트를 웹 브라우저가 아닌 컴퓨터의 서버 환경에서도 실행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오픈소스 런타임입니다. 구글의 V8 자바스크립트 엔진을 기반으로 하며, 이벤트 기반, 논 블로킹(Non-blocking) 방식의 입출력 처리로 빠르고 효율적인 서버 애플리케이션 개발이 가능합니다. 이를 통해 웹 서버나 API 서버를 자바스크립트만으로 구축할 수 있어,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모두 자바스크립트로 개발하는 풀스택 개발이 용이해졌습니다. Node.js는 패키지 관리자(npm)를 통해 다양한 모듈과 라이브러리를 쉽게 활용할 수 있어, 현대 웹 개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2. 자바스크립트의 역사

1. 자바스크립트의 탄생 (1995년)

1995년, 넷스케이프(Netscape)라는 회사에서 웹 브라우저인 넷스케이프 내비게이터를 만들고 있었는데, 웹 페이지에 동적인 기능(버튼 클릭, 팝업 등)을 넣고 싶어졌습니다. 그래서 브렌던 아이크(Brendan Eich)라는 개발자가 단 10일 만에 새로운 언어를 만들어냈고, 이게 바로 자바스크립트입니다. 원래 이름은 Mocha → LiveScript였지만, 당시 인기 있던 언어 Java의 인기에 편승하려고 이름을 JavaScript로 바꿨습니다. (사실 Java와는 아무 관련도 없습니다!)

 

2. 브라우저 전쟁과 혼돈기 (1996~2005년)

마이크로소프트가 Internet Explorer에 자바스크립트를 넣으면서, 브라우저마다 자바스크립트 동작이 달라져 개발자들이 매우 혼란스러워졌습니다. 이 시기에 표준화가 시급해져서, ECMAScript라는 이름으로 표준화 작업이 시작되었습니다. 지금도 자바스크립트의 공식 명칭은 "ECMAScript"입니다.

 

3. 모던 자바스크립트의 시작 (2009년~)

2009년, Node.js가 등장하면서 자바스크립트를 웹 브라우저 밖, 즉 서버에서도 쓸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때부터 자바스크립트는 단순히 웹 페이지용 언어가 아니라 범용 프로그래밍 언어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2015년, 드디어 ES6(ECMAScript 2015)가 발표되면서 let, const, class, 화살표 함수 등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어 지금 우리가 쓰는 모던 자바스크립트가 탄생했습니다.

 

4. 현재는...?

지금 자바스크립트는 웹 개발뿐 아니라 모바일 앱, 데스크탑 앱, 게임, 서버 개발까지 가능한 만능 언어가 되었고, 전 세계 수백만 명의 개발자가 매일 쓰고 있습니다.

 

 

3. node.js 설치

1. node.js 공식 홈페이지에서 node.js를 다운로드 후 설치합니다.

 

2. vscode 익스텐션 중 Code Runner를 설치합니다.

 

3. 설정 - setting.json을 검색 후 아래 내용을 추가합니다.

 

"code-runner.clearPreviousOutput": true,
"code-runner.runInTerminal": true,
"code-runner.executorMap": {
  "javascript": "node"
}

 

3. 아래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고 "컨트롤 + 알트 + N" 으로 실행합니다.

console.log("테스트입니다!");

 

 

 

728x90
반응형

'프론트엔드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열  (0) 2025.04.10
제어문 - 기본 반복문  (0) 2025.04.10
제어문 - 조건문  (0) 2025.04.10
연산자  (0) 2025.04.10
변수  (0) 2025.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