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uzy 2025. 4. 15. 02:44
728x90
반응형

1. 내장 객체(Built-in Object)

내장 객체란 자바스크립트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객체를 말합니다. 우리가 따로 만들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고, 다양한 기능(문자열 처리, 수학 계산, 날짜 등)을 제공합니다.

 

 

2. Math 객체

자바스크립트의 Math 객체수학과 관련된 계산을 도와주는 내장 객체, 다양한 수학 함수와 상수제공합니다. Math 객체는 생성할 필요 없이 바로 사용할 있습니다.

// min(): 가장 작은 수를 반환
console.log(Math.min())
console.log(Math.min(1, 10, -10, 1000, 0, '-100'))
console.log(Math.min(1, 10, -10, '천', 0, '-100'))

// max(): 가장 큰 수를 반환
console.log(Math.max())
console.log(Math.max(1, 10, -10, 1000, 0, '-100'))
console.log(Math.max(1, 10, -10, '천', 0, '-100'))

// round(): 소수점 첫번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그 결과를 반환
console.log(Math.round(10.49))
console.log(Math.round(10.5))
console.log(Math.round(-10.5))
console.log(Math.round(-10.51))

// n번째 자리에서 반올림
let num = 123.4567
// console.log(num * 100)
// console.log(Math.round(num * 100))
console.log(Math.round(num * 100)/100)
console.log(num.toFixed(2))

// floor: 소수점 첫번째 자리에서 소수점을 버림
console.log(Math.floor(10.49))
console.log(Math.floor(10.5))
console.log(Math.floor(-10.5))
console.log(Math.floor(-10.51))

// ceil(): 소수점 첫번째 자리에서 소수점을 올림
console.log(Math.ceil(10.49))
console.log(Math.ceil(10.5))
console.log(Math.ceil(-10.5))
console.log(Math.ceil(-10.51))

// random(): 0보다 크거나 같고 1보다 작은 무작위 소수를 반환
console.log(Math.random())
const r = Math.random()
console.log(r)
console.log(Math.ceil(r*10))

 

 

3. String 객체

자바스크립트의 String 객체는 문자열 데이터를 생성하고 조작하기 위한 내장 객체로, 문자열 처리에 유용한 다양한 메서드를 제공합니다. 문자열은 기본적으로 원시값이지만, 문자열과 관련된 작업을 수행할 때 자바스크립트가 자동으로 String 객체로 감싸기 때문에 메서드를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const str1 = '안녕하세요 JavaScript'
const str2 = new String('안녕하세요 JavaScript')

console.log(str1 == str2)
console.log(str1 === str2)

// length: 문자열의 길이를 저장
console.log(str1.length)

// indexOf(): 특정 문자나 문자열이 처음으로 등장하는 위치를 인덱스로 반환
console.log(str1.indexOf('J'))
console.log(str1.indexOf('Java'))
console.log(str1.indexOf('java'))

// charAt(): 특정 문자열에서 전달 받은 인덱스에 위치한 문자를 반환
console.log(str1.charAt(7))

// includes(): 특정 문자열에서 전달 받은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반환
console.log(str1.includes('Java'))
console.log(str1.includes('java'))

// substring(): 전달 받은 시작 인덱스부터 종료 인덱스 직전까지의 문자열을 추출
console.log(str1.substring(7))
console.log(str1.substring(7, 11))

// replace(): 원본 문자열의 일부를 전달 받은 문자열로 치환
console.log(str1.replace('안녕하세요', 'Hello'))

// split(): 구분자를 기준으로 나눈 후 나뉜 문자열을 하나의 배열에 저장
const str3 = '김사과,오렌지,반하나,이메론,배애리'
const students = str3.split(',')
console.log(students)

for(let i in students){
    console.log(i, students[i])
}
console.log('-------------')

// trim(): 문자열의 앞 뒤 공백을 제거
const str4 = '     JavaScript     '
console.log(`🎃${str4}🎃`)
console.log(`🎃${str4.trim()}🎃`)

// toUpperCase(), toLowerCase(): 문자열을 대, 소문자로 변환
console.log(`🎃${str4.trim().toLowerCase()}🎃`)
console.log(`🎃${str4.trim().toUpperCase()}🎃`)

 

 

4. Date 객체

자바스크립트의 Date 객체는 날짜와 시간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내장 객체로, 현재 시간부터 특정 날짜 설정, 시간 계산, 형식 변환까지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new Date()를 사용하면 현재 날짜와 시간을 나타내는 객체가 생성되며, getFullYear(), getMonth(), getDate() 같은 메서드를 통해 연도, 월, 일을 꺼낼 수 있고, setDate(), setHours() 등을 이용해 날짜와 시간을 설정하거나 수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getTime()을 사용하면 1970년 1월 1일 자정부터 경과된 밀리초(ms) 값을 가져올 수 있어, 날짜 간의 차이를 계산하는 데도 활용됩니다. Date 객체는 시간 기반 기능이나 로그 기록, 타이머, 예약 작업 등 시간 관련 기능을 구현할 때 필수적입니다.

// 현재 날짜와 시간
const now = new Date();
console.log("현재:", now.toString());

// 연도, 월, 일 꺼내기
console.log("연도:", now.getFullYear());
console.log("월:", now.getMonth() + 1); // 0부터 시작하므로 +1
console.log("일:", now.getDate());

// 특정 날짜 만들기
const birthday = new Date(2024, 4, 15);
console.log("생일:", birthday.toDateString());

// 날짜 차이 계산
const nowTime = now.getTime();
const birthTime = birthday.getTime();
const diffDays = Math.floor((nowTime - birthTime) / (1000 * 60 * 60 * 24));
console.log(`태어난 지 ${diffDays}일 지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