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파이썬

파이썬 연산자

Ryuzy 2023. 9. 5. 01:41
728x90
반응형

1. 산술 연산자

산술 연산자는 주로 수치 데이터 유형에 대한 기본 산술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 + : 더하기
  • - : 빼기
  • * : 곱하기
  • / : 나누기
  • //: 몫 (정수 나누기)
  • % : 나머지
  • **: 지수 (거듭제곱)
print(10 + 3)
print(10 - 3)
print(10 * 3)
print(10 / 3)
print(10 // 3)
print(10 % 3)
print(10 ** 3)

 

 

2. 비교 연산자

비교 연산자는 주로 값을 비교하는 사용되며, 결과는 항상 불리언(True 또는 False) 값입니다.

  • ==: 동등
  • !=: 동등하지 않음
  • < : 작다
  • <=: 작거나 같다
  • > : 크다
  • >=: 크거나 같다
print(10 > 5)
print(10 < 5)
print(10 >= 5)
print(10 <= 5)
print(10 == 5)
print(10 != 5)

 

 

3. 할당 연산자

변수에 값을 할당하는데 사용됩니다. 파이썬에서는 기본 할당 연산자 외에도 복합 할당 연산자를 제공하여 코드를 간결하게 작성할 있게 도와줍니다.

  • = : 할당
  • += : 더하기 후 할당
  • -= : 빼기 후 할당
  • *= : 곱하기 후 할당
  • /= : 나누기 후 할당
  • //=: 몫 후 할당
  • %= : 나머지 후 할당
  • **=: 지수 할당
num = 10

num += 1    # num = num + 1
print(num)
num -= 1
print(num)
num *= 10
print(num)
num /= 10
print(num)
num %= 2
print(num)

 

 

4. 비트 연산자

비트 연산자는 정수를 이진 비트로 표현했을 사용하는 연산자들입니다. 연산자는 정수의 비트 단위로 동작합니다.

  • & : 비트 단위 AND
  • | : 비트 단위 OR
  • ^ : 비트 단위 XOR
  • ~ : 비트 단위 NOT
  • << : 왼쪽 시프트
  • >> : 오른쪽 시프트
a = 60  # 111100
b = 13  # 001101

print(a & b)  # 12, 즉 1100
print(a | b)  # 61, 즉 111101
print(a ^ b)  # 49, 즉 110001
print(~a)  # -61
print(a << 2)  # 240, 즉 11110000
print(a >> 2)  # 15, 즉 1111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내는 용량 단위

Bit: 가장 기본적인 데이터 단위로, 0 또는 1의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바이트(byte): 8개의 비트로 구성되며, 일반적으로 하나의 문자(알파벳, 숫자 등)를 저장할 수 있는 크기.
킬로바이트(KB): 1,024 바이트
메가바이트(MB): 1,024 KB (약 1,048,576 바이트)
기가바이트(GB): 1,024 MB (약 1,073,741,824 바이트)
테라바이트(TB): 1,024 GB (약 1,099,511,627,776 바이트)
페타바이트(PB): 1,024 TB (약 1,125,899,906,842,624 바이트)
엑사바이트(EB): 1,024 PB (약 1,152,921,504,606,846,976 바이트)
제타바이트(ZB): 1,024 EB (약 1,180,591,620,717,411,303,424 바이트)
요타바이트(YB): 1,024 ZB (약 1,208,925,819,614,629,174,706,176 바이트)

 

 

1.1 + 0.1 == 1.2가 False로 나오는 이유?

 

부동소수점(Floating Point) 연산의 오차 때문입니다. 컴퓨터는 10진수를 2진수로 변환하여 계산하는데, 1.1과 0.1은 2진수로 정확히 표현되지 않아서 미세한 오차가 발생합니다. 1.1과 0.1 같은 10진수를 이진수로 변환할 때, 컴퓨터는 이를 무한 소수로 처리합니다. 이진수 표현에서는 특정 소수를 정확히 표현하지 못하고 근사값으로 저장하게 됩니다. 따라서 1.1 + 0.1의 결과는 1.2에 아주 가까운 값이지만, 정확히 1.2와는 다르기 때문에 False가 반환됩니다.

 

 

5. 논리 연산자

파이썬에서의 논리 연산자는 주로 불린(Boolean) 값을 조작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그러나 파이썬의 논리 연산자는 다른 언어와는 다르게, 연산의 결과로 항상 True 또는 False만을 반환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신 마지막으로 평가된 피연산자의 값을 반환합니다.

  • and: 논리 AND
  • or : 논리 OR
  • not: 논리 NOT
# and
print(True and 3)       # 3
print(3 and 5)         # 5
print(0 and 5)         # 0

# or
print(False or 3)      # 3
print(3 or 5)          # 3
print(0 or 5)          # 5

# not
print(not True)        # False
print(not 0)           # True
print(not 3)           # False

 

 

6. 파이썬에서 불린(Boolean)으로 평가되는 주요 값

1. True로 평가되는 주요 값

- 0이 아닌 모든 숫자 (양수, 음수 모두 포함)

- 비어 있지 않은 문자열, 비어 있지 않은 리스트, 비어 있지 않은 튜플, 비어 있지 않은 세트, 비어 있지 않은 딕셔너리

- True

 

2. False로 평가되는 주요 값

- False

- 0

- 빈 문자열

빈 리스트 [], 빈 튜플 (), 빈 세트 set(), 빈 딕셔너리 {}

- None

728x90
반응형